사회적 이동성 – 세대내 이동성

** 강신욱, 2011, 소득이동성의 변화 추이, 보건복지 Issue& Focus, Vol. 93,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청 <도시(가계)조사>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이성성 변화를 살핌. 소득분위를 10분위로 구분한 후, 소득분위간의 이동성을 소득지위의 이동으로 정의. 주요 결과는, 소득이동성의 저하와 함께, 2000년 이후에는 빈곤탈출률도 급격히 낮아지고 있음. 참고로 이 연구는 상대적 소득에 대해서만 고려하고 있음. 또한 빈곤층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필요
부의 대물림 – 세대간 이동성

Bernt et al. (2007) Nonlinearities in Intergenerational Earnings Mobility, The Economic Journal, Vol. 117, pp.72-92. 잘 사는 부모 아래서 자란 아이는, 나중에 커서도 잘 살 가능성이 크다! 이러한 부의 대물림 현상은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. 하지만 대물림의 양상은 사회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납니다. 아래 두 그림을 비교해 볼까요. 왼쪽은 미국, 오른쪽은 핀란드의 […]